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석 차례상 간소화 성균관 제시한 표준안으로 차리는 방법

추석 차례상 간소화 성균관 제시한 표준안으로 차리는 방법

오는 1월 22일일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 설날입니다. 설은 정초, 원일, 원단, 정조, 세수, 세초, 세시, 연두, 연시, 연수 등으로도 표현됩니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 때 이미 설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로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4대 명절의 하나로 지금까지 전해 내려옵니다.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 그림, 복요리 걸기, 야광 귀 쫓기, 청 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이 있습니다.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삼간다는 뜻으로서, 새 해의 첫날에 일 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게 해 달라는 바람에서 연유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섦다의 뜻에서 유래된 뜻으로, 해가 지남에 따라 점차 늙어 가는 처지를 서글퍼하는 뜻에서 생겼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전 튀김 기름진 음식
전 튀김 기름진 음식

전 튀김 기름진 음식

전 및 튀김은 며느리, 어머님들이 음식을 준비하기에 제일 힘든 부분입니다. 성균관에서는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불필요합니다.고 말하는데 기름진 음식을 쓰는 것은 예법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전을 부쳐서 세대갈등, 고부갈등, 부부싸움, 집안싸움을 한다기보다. 명절 때 보기 싫은 가족들이 모이고 서로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냥 편하게 휴일을 즐기고 싶은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종교 문제로 인해 부담을 갖고 계신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타협점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타협점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타협점

유교에서는 원래 검소함을 강조했습니다. 왜 포가 없냐?, 부실하냐?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지만 오히려 허례허식으로 많이 차리는 것은 유교사상과 맞지 않습니다. 전통도 아닌 전통을 고수하는 것이 오히려 가족 간 불화를 일으 킬 수 있습니다.

누군가 걱정 받는 명절이라면 안 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부모님들이 예전에 우리 세대에는 이렇게 고생했는데 요즘에는 예의가 없습니다.는 말을 하기 보다.

제사나 추석, 설날 차례상은 편하게 차리며 가족 간의 화합을 더 중요시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차례상 떡

설날 차례를 위해서 올리는 상차림을 차례상이라 하고 그 차례상에는 대한민국 대표 관습 음식이라 할 수 있는 떡을 올립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설날 먹는 떡으로 거론된 떡국, 콩시루, 인절미를 올리시면 되지만 하지만 국으로 분류되는 떡국을 제외된 콩시루와 인절미 중에서 하는 하나를 선택해서 올리시면 됩니다.

혹시라도 차례상 음식 올리는 상태에서 대하여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위 사진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설날에 먹는 떡과 차례상에 어떤 게 좋을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모두 유쾌한 구정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추석 간단한 제사상 상차림

요즘에는 차례 간소화를 많이 합니다. 현대사회 분주한 일상, 특히 코로나 이후 친인척 가족들을 보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소중한 명절기간 추석 제사상을 차리기 위해 열심히 일만 하는 것보다는 가족들 모두 앉아 서로 이야기도 분배하고 유쾌한 시간들을 보내기 위해서입니다. 성균관 유교문화 활성단 사업단에서도 추천하는 추석 간단한 제사상 상차림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 글과 제사상그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위 사진과 지방 사당이 없는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괜찮습니다.

과일 놓는 방법 예법을 다룬 문헌에 홍동백서나 조율이시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편하게 놓으면 됩니다.

설 차례상에 대한 오해

설과 추석 등 명절 아침에 온 가족이 모여 조상께 인사를 드리는 의식인 차례를 위해 상을 준비하면서 명절 전부터 많은 양 의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당연시되었습니다. 이는 차례상에 상승하는 음식의 종류가 많으면 많을수록 조상에 대한 효를 잘 보여 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잘못된 생각 때문에, 차례상을 차리는 데 있어 경제적 부담과 여자들의 스트레스가 늘어 나면서 갈등이 유발되고 이른바 명절증후군이라는 말까지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성균관 유도회총본부에서는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성균관에서 발표한 설 차례 간소화 진설도를 살펴보면, 과일 4종류와 삼색나물, 소고기적, 김치, 떡으로 한 상을 마련한 것을 알 있습니다.

설 차례상 음식에 대한 속설

우리나라는 차례상 음식에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보고된 고추가루와 마늘을 사용하지 않고,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써 왔 다. 또한 꽁치, 삼치 등 이름에 치로 끝나는 생선이나 비늘이 없고 길기만 한 메기, 장어와 같은 생선 역시 설 차례상에는 올 리지 않았습니다. 복숭아와 같은 털이 있는 과일 역시 올리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음식을 올릴 때 그 수는 홀수로 맞춰 올렸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전 튀김 기름진 음식

전 및 튀김은 며느리, 어머님들이 음식을 준비하기에 제일 힘든 부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유교에서는 원래 검소함을 강조했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차례상 떡

설날 차례를 위해서 올리는 상차림을 차례상이라 하고 그 차례상에는 대한민국 대표 관습 음식이라 할 수 있는 떡을 올립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